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옵션의 가격 결정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by 안전우선 2025. 3. 15.
반응형

옵션 가격은 여러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옵션 매수자는 프리미엄(Premium)을 지불하고 콜(Call) 또는 풋(Put) 옵션을 매수하는데, 이 프리미엄은 기초자산 가격, 행사 가격, 변동성, 만기까지 남은 기간, 금리, 배당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옵션 가격을 결정하는 대표적인 모델로는 블랙-숄즈 모형(Black-Scholes Model) 이 있으며, 이 모델에서도 다음과 같은 6가지 주요 요인이 옵션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합니다.

1. 옵션 가격을 결정하는 6가지 요인

(1) 기초자산 가격(Stock Price, S)

  • 콜 옵션(Call Option): 기초자산 가격이 상승하면 콜 옵션 가격도 상승
  • 풋 옵션(Put Option): 기초자산 가격이 상승하면 풋 옵션 가격은 하락

📌 예시
삼성전자 주식이 현재 70,000원이고, 75,000원 콜 옵션을 보유하고 있다면?

  • 삼성전자 주가가 80,000원으로 상승하면 콜 옵션 가격도 상승 ⬆
  • 삼성전자 주가가 68,000원으로 하락하면 콜 옵션 가격도 하락 ⬇

(2) 행사 가격(Strike Price, K)

  • 콜 옵션(Call Option): 행사 가격이 높을수록 옵션 가격 하락
  • 풋 옵션(Put Option): 행사 가격이 높을수록 옵션 가격 상승

📌 예시
현재 주가가 70,000원일 때,

  • 콜 옵션(매수 권리): 65,000원 행사 가격 옵션 > 75,000원 행사 가격 옵션
  • 풋 옵션(매도 권리): 75,000원 행사 가격 옵션 > 65,000원 행사 가격 옵션

즉, 콜 옵션은 행사 가격이 낮을수록, 풋 옵션은 행사 가격이 높을수록 가치가 높아짐

(3) 남은 만기 기간(Time to Maturity, T)

  • 옵션의 만기가 길수록 옵션 가격 상승(콜 & 풋 옵션 모두)
  • 시간이 지날수록 옵션 가격은 감소(Theta, 시간가치 감소)

📌 예시
현재 삼성전자 주가가 70,000원일 때,

  • 3개월 만기 콜 옵션 가격 > 1개월 만기 콜 옵션 가격
  • 3개월 만기 풋 옵션 가격 > 1개월 만기 풋 옵션 가격

즉, 만기가 길수록 옵션 가격이 높아짐

(4) 기초자산의 변동성(Volatility, σ)

  • 변동성이 높을수록 옵션 가격 상승(콜 & 풋 옵션 모두)
  • 변동성이 낮으면 옵션 가격 하락

📌 예시

  • 삼성전자 주가 변동성이 하루 1% → 옵션 가격 낮음
  • 삼성전자 주가 변동성이 하루 5% → 옵션 가격 높음

옵션은 기초자산 가격이 크게 변할 가능성이 클수록 가치가 높아지므로, 변동성이 옵션 가격에 큰 영향을 줌

(5) 무위험 금리(Interest Rate, r)

  • 금리가 상승하면 콜 옵션 가격 상승, 풋 옵션 가격 하락
  • 금리가 하락하면 콜 옵션 가격 하락, 풋 옵션 가격 상승

📌 예시

  • 금리가 오르면 주식 매수를 선호하게 되어 콜 옵션 가격 상승
  • 금리가 내리면 풋 옵션(매도권) 선호도가 올라가 풋 옵션 가격 상승

(6) 배당금(Dividend, D)

  • 배당이 많을수록 콜 옵션 가격 하락, 풋 옵션 가격 상승
  • 배당이 지급되면 주가가 낮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

📌 예시

  • 삼성전자가 배당을 많이 준다면 콜 옵션 가격 하락, 풋 옵션 가격 상승

2. 옵션 가격 결정 요인 요약

    요인                                                                                            콜옵션(Call)                          풋 옵션(Put)

 

기초자산 가격 ⬆ 상승 ⬇ 하락
행사 가격 ⬇ 하락 ⬆ 상승
만기 기간 ⬆ 상승 ⬆ 상승
변동성(Volatility) ⬆ 상승 ⬆ 상승
금리(Interest Rate) ⬆ 상승 ⬇ 하락
배당금(Dividend) ⬇ 하락 ⬆ 상승

🚀 옵션을 거래할 때 위 6가지 요소를 꼭 고려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