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봄철이면 산불 발생 건수가 급증합니다. 기온 상승과 건조한 날씨, 강풍 등의 기상 요인이 겹치며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번지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2025년 봄, 우리 모두가 산불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참여와 실천을 통해 소중한 산림과 인명을 지키는 데 앞장서야 할 때입니다. 이번 산청 대형산불을 계기로 더욱 예방책을 철저히 이행합시당.
1. 봄철 산불의 주요 원인
- 논·밭두렁 태우기: 불법 소각은 산불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특히 바람이 강한 봄철에는 통제 불능 상태로 번지기 쉽습니다.
- 입산자 실화: 등산객의 담배꽁초, 불씨가 남은 모닥불 등도 산불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 건조한 날씨: 기온 상승과 낮은 습도로 인해 불씨 하나로도 쉽게 불이 번질 수 있습니다.
2.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산불 예방 방법
① 불법 소각 금지
봄철에는 논·밭두렁 태우기나 쓰레기 소각 행위를 절대 금지해야 합니다. 불법 소각 시 과태료 또는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산림 피해를 초래할 경우 손해배상 책임도 발생합니다.
② 산림 출입 시 주의사항
등산이나 야외활동 시에는 절대 인화물질을 소지하거나 불을 피우지 않아야 합니다. 담배를 피운 후에는 반드시 완전히 꺼진 것을 확인하고 지정된 장소 외에서의 흡연은 삼가야 합니다.
③ 쓰레기 되가져가기
유리병, 캔 등 햇빛에 의해 열이 가해지면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습니다. 산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반드시 수거하여 내려와야 합니다.
④ 산불 발생 시 신고 요령
산불을 목격했다면 즉시 119 또는 1688-3119(산림청 산불신고센터)로 신고합니다. 불씨를 무리하게 진화하려 하지 말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 후 정확한 위치를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정부와 지자체의 주요 산불 방지 대책
- 드론 및 헬기를 활용한 감시 강화
- 산불 예방 캠페인 및 교육 확대
- 입산 통제 구역 운영 및 감시 인력 배치
- 산불 예방 홍보물 배포 및 민관 협력 시스템 구축
4. 산불 예방, 모두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산불은 한순간의 부주의로 발생하지만, 회복에는 수십 년이 걸립니다. 우리의 작은 실천이 산림을 지키고, 생명을 보호하며,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첫걸음이 됩니다. 봄철 산불 방지 대책은 더 이상 정부와 지자체의 몫만이 아닙니다. 국민 모두의 관심과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함께 실천하는 산불 예방, 지금 우리가 시작해야 할 일입니다.
2025년 봄, 우리 모두의 산불 예방 실천이 건강한 산림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